-
LIFESTYLE
- 2017-09-20
호텔 사우나 대장정
남자들의 사우나 사랑은 대단하다. 날씨가 더우면 더운대로, 추우면 추운 대로 사우나에 가야 한다. 비나 눈이 내릴 때, 햇빛이 내리쬘 때마다 생각나는 서울의 호텔 사우나 네 곳을 다녀왔다.

대욕탕 전경.
사용자 경험의 극치, 포시즌스 호텔 서울
포시즌스 호텔 서울은 현재 서울에 존재하는 최고급 호텔 중 가장 최근에 지은 곳이다. 사통 팔달 교통의 중심지인 광화문 한복판에 위치해 목이 워낙 좋은 데다 높은 층에 묵으면 경복궁까지 보이는 뷰, 찰스.H 바와 미슐랭 1스타를 받은 유유안, 아시아 럭셔리 스파로 선정된 스파 서비스까지 다양한 부문에서 한국 럭셔리 호텔의 기준을 바꿔놓고 있다. 사우나도 역시 포시즌스라는 탄성이 나왔다. 마블링이 아름다운 대리석을 아낌없이 사용해 고급스러우면서도 절제된 인테리어로 사치스러운 느낌을 없앴고, 특히 기다랗게 사용한 목재의 비례, 여러 소품과 텍스처 등에서 한국적 모티브를 모던하게 잘 풀어냈다는 인상을 강하게 받았다. 가장 먼저 눈에 띈 것은 완벽한 사용자 경험이다. 방문객은 입장 시 고무 팔찌 형태의 키를 받는다. 로커의 열쇠 버튼을 누르고 센서에 손목을 갖다 대면 문이 열리는데, 흔히 사용하는 스프링 형태가 아니라 디자인 제품처럼 만들어 착용감뿐 아니라 보기에도 좋았다. 명상 음악을 틀고 포시즌스 특유의 향으로 공간을 물들여 정서적 안정감 또한 높였다. 사용자는 시설의 흐름에 따른 동선을 취하면서 필요한 것을 자연스럽게 사용할 수 있다. 샤워 부스앞에는 미니 비누, 덴털 케어, 셰이빙 등 각종 일회용품을 비치했는데 치실과 애프터셰이빙젤까지 준비한 치밀함에 혀를 내둘렀다. 또한 곳곳에 설치한 정수기는 스파클링 워터까지 제공하며 고객의 취향을 배려한다.

개인 공간이 마련된 샤워 부스.
3개의 거대한 탕은 인피니트 풀을 채택, 수면을 눈높이에 맞춰 색다른 경험을 이끌어낸다. 특히 미끄럼 문제를 해결한 방법이 절묘한데 일단 작은 조명을 무릎 높이에 맞춰 시지각성을 높이고, 대리석 바닥에 금을 새겨 고무 매트 없이 자연스럽게 마찰력을 높였다. 무엇보다 프라이버시의 보호는 놀라울 만큼 정교하다. 문이 달린 샤워 부스를 만들어 나체 노출을 최소화하고, 파우더 룸과 TV 라운지는 비행기 일등석을 연상시키는 곡선형 개인 공간을 채택해 방문객끼리 피아를 인식할 수 없도록 배려한다. 파우더룸에 일회용 빗까지 포장해둔 것은 개인적으로 잊을 수 없는 장면이었다. 건식 사우나는 안면 홍조 때문에 사우나를 기피하는 에디터가 처음으로 마음 놓고 즐길 정도로 온도와 습도 조절이 완벽했다. 건축가 미스 반데어로에는 “신은 디테일에 있다”고 말했다. 포시즌스 호텔은 럭셔리를 만드는 요소가 무엇인지 정확히 파악하고 있었다. 회원권 소지자 외에 일반 투숙객은 스위트 이상만 무료고 그 아래 등급은 따로 돈을 내야 한다는 사실에 처음엔 고개를 갸우뚱했지만 실제 체험해보니 그 이유를 충분히 알 수 있었다.
Add 서울시 종로구 새문안로 97
Time 05:30 ~ 22:30
Inquiry 02-6388-5000

클래식한 분위기의 라운지 공간.
물만으로도 환상적인, JW 메리어트 호텔 서울
반포 센트럴시티에 위치한 JW 메리어트 호텔 서울의 사우나는 명탕으로 유명하다. 2000년 호텔 신축 당시 지하 500m에서 온천 수맥을 발견했다. 수질 검사를 해보니 라듐, 칼륨, 규산, 철분 등 20여 종의 무기질을 함유하고 약알카리성인지라 각종 피부병과 신경계 질환, 위장병, 비만, 류머티즘 등에 효능이 있는 최상급 게르마늄 암반 광천수였다. 온천보호지역으로 지정된 건 당연한 일. 국가가 검증한 온천수는 그 후로 매일 탕에 유입된다. 에디터는 개인적으로 온천으로 유명한 일본에 자주 가본 터라 사실 온천 사우나라는 말에 큰 감흥을 느끼진 않았다. 하지만 놀러 가서 하는 온천과 하루의 지난한 일과를 마치고 노곤한 몸을 푸는 온천 사우나는 차원이 달랐다. 탕 안에 들어가니 미끈미끈한 온천수 특유의 질감이 느껴지면서 몸이 발끝부터 사르르 녹는 듯했다. 다른 업장보다 물도 깊어 마치 온천에 여행을 온듯한 느낌이었다. 피로가 풀리는 느낌에 한동안 몽롱하게 온천수에 잠겨 있었다. 그리고 실험 삼아 습식 사우나에 잠시 들어갔다 나왔는데, 갑자기 온몸의 힘이 빠져버렸다! 옷 입을 힘도 부족해 가운을 입은 상태로 30분간 간이 의자에서 일어나지 못했을 정도다.

1 대욕탕. 2 사우나.
물을 활용하는 다양한 운동 시설과 대규모 수영장까지 이용 가능하지만 실제로 시도하는 건 언감생심. 왜 노약자나 체력이 약한 사람은 사우나를 조심하라고 하는지 온몸으로 실감했다. JW 메리어트 호텔 서울 사우나는 기본적으로 회원제다. 비회원이 이용하려면 숙박을 해야 한다. 실제 이용하는 나이대를 살펴보니 숙박객으로 보이는 젊은 사람들을 제외하곤 대부분 40~60대로 추정되었다. 의사나 변호사 등 전문 직군에게 인기가 많은 호텔 사우나라는 소문이 허명이 아닐 정도로 사람들의 분위기가 여유롭고 지적이었다. 이런 느낌이 가장 강하게 온 곳은 라운지 공간. 클래식한 멋이 인상적인 라운지는 특급 호텔이 줄 수 있는 웅장하면서도 편안한 고급스러움이 장관이었다. 하지만 24시간 사우나가 아니다 보니 욕탕을 벗어나 복도를 활보해도 허기진 배를 채울 수 있는 방법을 찾을 수 없었다. 할 수 없이 체크아웃을 하고 호텔 로비의 스낵 코너를 찾았다. 더위 먹은 사람인 양 빙수를 시켰지만 에디터가 원한 애플망고빙수는 품절이란다. 차선책으로 시킨 큼직한 모차렐라 치즈와 토마토를 먹으며 다시 한번 생각했다. ‘빈속으로 오면 안 되겠구나.’ 집에 돌아오자마자 침대에서 정신을 잃었다. 기분 좋은 기절이었다.
Add 서울시 서초구 신반포로 176
Time 05:45 ~ 22:00
Inquiry 02-6282-6570

대욕탕 전경.
호텔 사우나계의 신성, 리버사이드 호텔
리버사이드 호텔 사우나는 최근 강남 사우나계의 신성으로 우뚝 섰다. 호텔을 리모델링하면서 사우나 시설도 싹 바꾸었기 때문이다. 모던한 디자인을 기반으로 널찍한 공간을 확보해 사우나 특유의 답답한 느낌을 주지 않는다. 리버사이드 호텔 사우나는 사생활이라는 개념이 싹튼 사우나이기도 하다. 누구나 사우나의 욕탕에 들어가기 전에 샤워를 할 텐데 이때 양옆과 뒤에는 다른 사람들이 보이기 마련이다. 쾌남들은 신경 쓰지 않겠지만 사생활을 중요시하는 사람은 불쾌할 만도 한 구조다. 이곳은 설계 당시부터 이를 방지하는 구조를 생각했다. 실제 샤워 부스에 가면 바로 뒤에 있는 사람을 제외하곤 온전히 자신만 생각할 수 있다. 널찍한 탕도 기억에 남지만 이곳만의 재미는 바로 노천탕이다. 사우나 시설이 지상 3층에 위치한 터라 모서리 한쪽을 개방해 바람이 들어오게 했다. 물론 강남 바람을 그대로 접하는 게 과연 건강에 좋을까 걱정은 되지만 뜨거운 탕과 사우나를 들락날락하다 노천탕에 오면 자신도 모르게 바람 들어오는 곳으로 몸을 향하게 된다. 에디터도 그곳에 잠시 있는다는게 1시간 동안 혼이 빠진 채로 시간을 보냈을 정도다.

릴랙스 존에 위치한 라운지 체어.
이곳 식당이 맛집이라는 소문을 들은터라 식사를 시켜봤다. 다양한 한식과 안주류, 주류, 생과일주스까지 예상보다 가짓수가 많았다. 게다가 맛은 웬만한 식당보다 나았고 가격 또한 강남 물가를 생각하면 저렴하게 느껴졌다. 그래서 사람들이 끊임없이 방문하는 것이리라. 이곳을 찾는 이들의 연령대는 30~40대가 주를 이루었다. 몸을 잘 가꾼 젊은 사람이 자주 눈에 띄었고 확실히 연령대가 낮은 만큼 조용하기보다 활기차다는 느낌을 받았다. 이곳의 자랑 중 하나는 바로 릴랙스 존이다. 수십 개의 라운지 체어가 도열한 이곳에서 사람들은 TV를 보고 스마트폰을 만지작거리며 자신만의 시간을 여유롭게 쓰고 있었다. 안마 기계가 있는 개인 수면실도 24시간 호텔 사우나에서만 볼 수 있는 묘한 광경이었다. 밤이 깊어 사우나를 나온 에디터는 다시 일상으로 돌아왔다. 그런데 갑자기 눈앞에 벤틀리 한 대가 멈췄다. 30대로 보이는 남성 3명의 손에는 각각 조그만 목욕 가방이 들려 있었다. 24시간 사우나와 벤틀리의 조합이 만든 밤 12시는 단언컨대 최근 겪은 시간 중 가장 묘한 순간이었다.
Add 서울시 서초구 강남대로107길 6
Time 연중무휴
Inquiry 02-6710-1122

1 대욕탕 전경. 2 비즈니스 룸.
호텔 사우나의 대명사, 프리마 호텔
사우나에 관심 있는 사람치고 청담동 프리마 호텔을 모르는 사람이 있을까. 1988년에 오픈한, 이제 30년이 다 돼가는 프리마 호텔 사우나는 24시간 호텔 사우나의 대명사나 마찬가지다. 전신에 용과 호랑이를 새긴 문신족의 마지막 쉼터이기도 했으나 이젠 아예 입구에 출입 금지 사이니지를 설치할 정도로 입장을 강력하게 막고 있다. 하루 400명, 많으면 500명이 입장하는 프리마 호텔 사우나는 강남 남자들의 일상 속으로 편입된 지 오래다. 평일에는 퇴근 후 시원하게 사우나하고 집에 가는 사람이 많고, 휴일에는 아예 아침에 와서 점심 먹고 TV 보며 쉬는 게 낙인 사람들이 허다하다. 날씨도 전혀 타지 않는다. 에디터가 체험하러 간 날은 국지성 호우경보가 내린 토요일. 서울은 시간당 60mm의 폭우에 벼락까지 번쩍이는 상황이었지만 사람들은 그 비를 뚫고 아침부터 끊임없이 사우나로 출격했다. 프리마 호텔 사우나를 찾는 이들은 나이대가 굉장히 폭넓다. 주로 40~50대부터 많게는 80대, 적게는 10대까지 온다. 혼자 혹은 친구와 오기도 하지만, 아버지와 아들이 함께 찾는 경우도 의외로 많다. 코지하고 편안한 스타일의 탕과 사우나, 그리고 욕탕 밖으론 식당과 쉼터가 끊임없이 이어지는 이곳은 한번 오면 습관처럼 계속 찾게 되는 놀라운 친화력을 지녔다.

수면실.
세신으로 유명하다고 해서 한번 체험을 해봤다. 세신 공간에는 본명을 비롯해 회장님, 사장님 등의 호칭이나 이름 영문 이니셜까지 여러 방법으로 표기한 개인 로커가 있었다. 심지어 회사 이름도 목격했다. 세신은 약한 듯 강한 듯 적당한 세기로 빠르게 끝냈다. 아마 세신사가 지금까지 만난 사람들만 모아도 굉장한 인적 네트워크가 될 것이다. 벗은 상태에선 모두가 평등하지만 말이다. 프리마 호텔 사우나의 강점으로 다가오는 건 직원의 서비스다. 어딜 가든 스태프가 보이고 따로 벨을 누를 필요 없이 말을 걸면 굉장히 친근한 태도로 고객을 대한다. 점점 스태프가 줄고 시설이 커지는 여타 사우나와는 다른 상황으로 이런 고객 밀착형 서비스야말로 프리마 호텔 사우나의 가장 큰 자산으로 보인다. 이크, 지나가다 아는 회사의 대표님을 보았다. 강남에 산다는 건 알았지만 이런 방식으로 증명할 줄은 몰랐다. 알싸한 식혜를 먹으니 잠이 솔솔 오기 시작한다. 라운지 체어에 앉아 안경을 벗었다. 정신을 차리니 3시간이 훌쩍 지나 있었다.
Add 서울시 강남구 도산대로 536
Time 연중무휴
Inquiry 02-6006-9136
에디터 전종현(harry.jun@noblesse.com)
사진 노기오